728x90
반응형
엔터티 정의
- 변별할 수 있는 사물
-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
-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변별 가능한 객체
-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것(Thing)
-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의 명사
-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집합
- 인스턴스의 집합
엔터티 특징
- 반드시 해당 업무에 필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여야 한다.
- 예) 환자, 토익의 응시 횟수
- 유니크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 가능해야 한다.
-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 (한 개X, 두 개 이상O)
- 엔터티는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
- 엔터티는 반드시 속성을 포함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다.)
- 속성이 없는 실체는 존재할 수 없으며, 엔터티는 실제 세상에 있는 객체(Object)이다.
- 하나의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최소 1개 이상 관계가 있어야 한다.
- 엔터티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인 소프트 박스(Soft-box)로 표현한다.
엔터티 분류
유무형에 따른 분류
- 유형 엔터티(Tangible Entity)
- 물리적인 형태, 안정적, 지속적 활용
- 사원, 물품, 강사
- 물리적인 형태, 안정적, 지속적 활용
- 개념 엔터티(Conceptual Entity)
- 물리형태 미존재, 개념적 정보
- 조직, 보험상품
- 물리형태 미존재, 개념적 정보
- 사건 엔터티(Event Entity)
-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엔터티
- 주문, 청구, 미납
-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엔터티
발생 시점에 따른 분류
- 기본 엔터티(Fundamental Entity) / 키 엔터티(Key Entity)
- 해당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
-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 가능
- 타 엔터티의 부모 역할
- 사원, 부서, 고객, 상품, 자재
- 중심 엔터티(Main Entity)
- 기본 엔터티로부터 발생
- 업무에서 중심 역할
- 데이터 양이 많이 발생되고,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행위 엔터티 생성
- 계약, 사고, 예금원장, 청구, 주문, 매출
- 행위 엔터티(Active Entity)
- 2개 이상의 부모 엔터티로부터 발생
- 잦은 내용 변경으로 인해 데이터 양 증가
- 분석 초기 단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상세 설계나 프로세스와 상관 모델링을 하면서 도출
- 주문 목록, 사원 변경 이력
엔터티 명명 기준
- 가능하면 현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 가능하면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단수명사를 사용한다.
- 모든 엔터티를 통틀어서 유일하게 이름이 부여되어야 한다.
- 엔터티 생성 의미대로 이름을 부여한다.
반응형
'[DB]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데이터 모델링 요소-3)관계(Relationship) (0) | 2024.02.26 |
---|---|
[SQLD] 데이터 모델링 요소-2)속성(Attribute) (1) | 2024.02.25 |
[SQLD] ERD (1) | 2024.02.23 |
[SQLD]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 (0) | 2024.02.21 |
[SQLD] 데이터 독립성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