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 3단계
ANSI/SPARC의 데이터 독립성 모델
- 외부 단계(External Schema) (사용자 관점)
-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조직 전체 관점 표현
- 데이터 모델링은 통합 관점을 가지고 있는 개념 스키마를 만들어 가는 과정
- ⭥
- 외부/개념 사상(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
- 개념 단계(Conceptual Schema) (조직 전체 관점): 공통 사항을 처리하는 통합된 뷰를 스키마에 정의
- 사용자 뷰(view)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
-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한 논리적 부분(서브 스키마)
-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관점을 정의할 수 있도록 허용
- 일반 사용자는 SQL을 사용하여 DB에 접근
- ⭥
- 개념/내부 사상(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
- 내부 단계(Internal Schema) (저장 장치 관점): 물리적으로 저장된 방법에 대한 스키마 구조
- 물리적 저장 장치와 밀접한 계층
-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레코드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
-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을 나타냄
- 시스템 프로그래머, 설계자가 보는 관점의 스키마
반응형
'[DB]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데이터 모델링 요소-1)엔터티(Entity) (0) | 2024.02.24 |
---|---|
[SQLD] ERD (1) | 2024.02.23 |
[SQLD] 데이터 독립성 (0) | 2024.02.20 |
[SQLD] 데이터 모델링 (0) | 2024.02.19 |
[SQL] CONVERT_TZ()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