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twork]

(5)
[Web] http referrer 이해하기 유입 분석의 첫 단계는 어느 경로를 통해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했는지 아는 것이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구조 URL이란? 속성 설명 hostname 도메인을 의미한다. path(/) 경로를 가리키며 대부분의 URL은 hostname과 path로 이루어져 있다. query parameter(?) ?뒤에 오는 부분을 의미한다. key=value 형태이며 여러 개일 경우, &로 구분한다. UTM이 query parameter를 이용한다. fragment(#) 해시 또는 앵커라고도 부른다. 특정 ID를 링크로 걸거나 페이지의 state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URL 정보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바로 query parameter 부분이다. 리퍼러(Referrer) 웹 브라우저로 서..
[Web] CTA(Call To Action) CTA(Call To Action) Call to action(marketing) 위키백과 CTA는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거나 판매를 유도하는 디자인에 대한 마케팅 용어이다. 즉 사용자들이 구매, 구독, 예약 등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이다. 주로 클릭할 수 있는 버튼 형태의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되어 있다. CTA 제작 동작 단어를 사용하기 구매, 장바구니에 추가, 주문, 체험, 시작하기, 가입하기, 다운로드, 더 알아보기, 위로 올리기, 계속, 더보기 1인칭으로 작성하기 짧고 단순하기 작성하기 고객의 필요를 이해하기 CTA를 찾기 쉽게 만들기 색상, 크기 대조를 통해 버튼을 전략적으로 설계 Reference https://ko.wix.com/blog/post/call-to..
[Network] the range of port number 포트(port) : computer networking 포트(port)는 '항구', '공항'의 의미가 있다. 이 의미는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관문이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컴퓨터에서도 이 의미가 존재한다. 컴퓨터에서 포트(port)는 외부의 다른 장비와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이다. Port (computer networking)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끝점(endpoint)이다. 소프트웨어에서 포트(port)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주로 포트(port)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과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User ..
[APP] 광고 식별자 광고 식별자? 운영체제가 만든 광고ID 광고 ID의 의미와 중요성 운영체제가 기기에 부여하는 광고 식별 값으로, 랜덤으로 부여 분석을 위해 고유성(Uniqueness, One Identifier)을 가진 최소 식별 단위가 필요 앱으로부터 수집되는 광고 ID 앱 이용자들의 행동을 디바이스 단위(기기 별 1개씩 부여)로 분석할 수 있는 수단 앱 서비스 이용자가 '누구'인지는 모름 앱 이용자의 디바이스가 남긴 행동 기록을 통해 분석이 가능 모바일 앱 환경의 광고 식별자 모바일 앱 환경에서는 구글과 애플이 디바이스 단위로 공유성을 갖는 '광고 식별자(광고ID)'를 제공 ios의 광고 식별자는 Apple는 IDFA을, Android는 Google의 ADID를 사용 이름은 다르지만 제공목적과 기능은 동일 IDFA:..
[Web] cookie Cookie 쿠키는 name, value 형태로 클라이언트(client)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 서버에서 HTTP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으로 클라이언트에 정보를 제공한다. Set-Cookie: = 쿠키 정보로 이름, 값, 만료 날짜/시각(쿠키 저장 기간), 경로 등을 포함한다.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를 로컬(local)에 저장했다가 요청(request)할 때 참조된다. 서버측에서 만료기간을 지정하여 정해진 기간동안 상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예) 로그인 상태 유지 개발자 도구를 통해 실제 쿠키 데이터를 확인해보자. 개발자 도구(command+shift+I) -> Application -> Storage -> Cookies Session Cookie v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