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24)
Mac 시간 오류 해결방법 맥 시간이 안맞는 경우 강제로 시간을 자동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터미널을 열어서 sudo sntp -sS time.apple.com 커맨드를 입력하면 된다. 이때 터미널에서 sudo 권한으로 커맨드를 입력했니까 맥 Password로 로그인하면 시간 재설정이 완료된다. % sudo sntp -sS time.apple.com Password: +1311.766040 +/- 0.005418 time.apple.com 17.253.114.253 Reference https://ericstory.com/108
[SQLD] SELECT 문 SQL 종류 SQL은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함 SQL 종류 설명 SELECT문 SELECT문은 6개 절로 구성되며 각 절은 순서대로 작성해야 한다. (GROUP BY와 HAVING은 서로 바꿀 수 있지만 보통 GROUP BY 다음에 HAVING을 사용함) SELECT 문의 내부 파싱(문법적 해석) 순서는 나열된 순서와 다르다.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 SELECT > ORDER BY 순서로 실행된다. SELECT [ALL/DISTINCT] 보고 싶은 컬럼명, 보고 싶은 컬럼명, ... FROM 해당 컬럼들이 있는 테이블명 ; ALL: Default 옵션이므로 별도로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중복 데이터가 있어도 모두 출력한다. DISTINCT: 중복 데이터가 있..
[DB] 그림으로 보는 NoSQL 종류
[SQLD]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데이터베이스와 DBMS 데이터는 어떤 것들의 기록 정보이며, 데이터를 모아 둔 것을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B)라고 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컴퓨터의 저장 장치(하드디스크, SSD)도 넓은 의미에서 파일 시스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라고 한다. DBMS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오라클, MySQL, MS SQL Server등이 있고,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이라는 데이터베이스 조작 언어를 통해 관리된다. 데이터베이스는 설계, 운영, 저장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Tistory Shortcut 티스토리 단축키
[Linux] Linux Partition 리눅스 파티션리눅스 파티션은 디스크 공간의 분할을 의미한다.리눅스 운영 체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디렉토리가 있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 구조를 사용한다.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공간을 별도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다.즉 하나의 물리 저장 장치를 시스템 내부에서 여러 디스크 공간으로 나누는 작업을 리눅스 파티셔닝이라고 한다.리눅스 파티션 종류Primary Partition (주 영역 파티션)물리적 파티션 최대 4개Extend Partition (확장 영역 파티션)논리적 파티션 최대 1개Logical Partition(논리 영역 파티션)Extend Partition 안에 만들 수 있는 파티션으로, SCSI 한 개 당 최대 15개 (12개 이상은 권하지 않음)리눅스 파티션 구성root 파..
[Airflow] Airflow 개념 Apache Airflow Apache Airflow 공식문서 What is Airflow™? — Airflow Documentation airflow.apache.org Airflow는 AirBnB( Air Bed and Breakfast)에서 만든 워크플로우 관리 도구(Workflow management tool)이다. ETL(Extraction -> Transformation -> Loading)과 같이 작업의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툴이다. 워크플로우 작성, 스케줄링, 모니터링 작업을 관리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Airflow는 이러한 관리를 위한 컴포넌트(Component)들이 있으며, 각 컴포넌트들 간의 아키텍처는 아래와 같다. Airflow 구성요소 Webserver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
[SQLD] 본질 식별자 vs. 인조식별자 식별자 구분 본질 식별자 업무에 의해 만들어지는 식별자 (꼭 필요한 식별자) 인조식별자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꼭 필요하진 않지만 관리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본질 식별자가 복잡한 구성을 가질 때 인위적으로 생성하는 식별자 주로 각 행을 구분하기 위한 기본키로 사용되며, 자동으로 증가하는 일련번호 형태 인조식별자 단점 중복 데이터 발생 데이터 품질 저하로 이어짐 불필요한 인덱스 생성 저장공간 낭비 및 DML(INSERT, UPDATE, DELETE) 성능 저하로 이어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