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Linux 시스템에는 관리자 작업을 위한 전용 그래픽 유틸리티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로 command line 모드에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대부분의 시스템 명령어들은 모든 Linux 배포판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며, 그래픽 도구의 경우 그렇지 않을 수 있다.
- 시스템이 올바르게 시작되지 않더라도 백업 명령 인터프리터에는 여전히 접근할 수 있을 수 있다.
- 원격 관리는 SSH 터미널이 있는 command line에서 수행된다.
- 서버 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설치되지 않거나 필요할 때에만 실행된다.
- 관리 작업은 스크립트를 통해 수행된다.
명령어를 통해 관리자는 Linux 터미널에 연결하여 리소스와 파일을 관리하고 스테이션, 터미널 및 연결된 사용자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들
Linux 시스템 사용자는 /etc/passwd 파일에 정의되어야 한다.
- 숫자 식별자: UID(User IDentifier: 사용자 식별자)
- 그룹 식별자: GID(Group IDentifier: 그룹 식별자)
- 명령 인터프리터(예: shell)는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 연결 디렉토리(예: /home)
- 비밀번호는 저장하기 전에 암호화된다. (/etc/shadow)
- 명령 프롬프트, 프롬프트 로그인은 /etc/profile 에서 관리자는 #로, 다른 사용자는 $로 표시된다.
Shell
사용자가 콘솔에 연결되면 shell은 명령 프롬프트를 표시한다.
무한 루프처럼 동적하며, 각 명령문이 입력될 때마다 동일한 패턴을 반복한다.
- 명령 프롬프트 표시
- 명령 Read
- 구문 분석
- 특수 문자 대체
- 명령 실행
- Key sequence Ctrl + c 는 실행 중인 명령을 중단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명령 command는 다음 순서를 따른다.
command [option(s)] [arguments(s)]
- 명령 이름은 소문자로 작성한다.
- 각 항목은 공백으로 구분된다.
- 짧은 옵션(-l)은 대시로 시작하고, 긴 옵션(--list)은 두 개의 대시로 시작한다.
- 일부 짧은 옵션은 그룹화 할 수 있다. (예: ls -l -i -a -> ls -lia)
Reference
반응형
'[OS]Operating System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표시 및 식별 명령어 (0) | 2024.06.18 |
---|---|
[Linux] 일반 명령어 (0) | 2024.06.17 |
[Linux] Linux Partition (0) | 2024.03.09 |
[Linux] 파일 이동 및 이름 바꾸기 (3) | 2024.03.05 |
[Linux] retry logic in script (0) | 2023.06.13 |